카테고리 없음

기후 변화에 따른 필요한 행동

hoydoolly 2024. 1. 10. 04:47

난 기상학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다. 해류의 흐름, 대기의 이동, 날씨의 패턴, 기후의 트렌드 등 여러가지를 배웠고, 기상학이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전공이기에 평소 주변 사람들이 나에게 많이 질문한다. 

내일 날씨가 어때? 지구 온난화가 진짜야? 등등 사실 나의 박사 학위 세부전공은 모델에서의 구름생성 과정에 따른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이기에 나도 모든 기상 지식에 능통한 건 아니지만 박사학위 소지자이기에 많은 질문을 받는다. 

 

우선 날씨는 짧은 시간의 대기의 움직임이라 볼 수 있다. 몇 시간부터 한 달 정도에 이르는 기간을 날씨라 부르고, 기후는 더 오랜 기간을 의미한다, 최소 10년 이상의 단위다. 

 

기후 변화는 지구의 평균 기온이 점진적으로 상승하면서 전지구적 기후 패턴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상 또는 이러한 변화로 인한 위험을 말한다. 지구 온난화는 인간이 온실 기체를 방출하여 일어난 인위적 현상이란 게 기상학의 전반적인 의견이다. 인간이 방출한 온실 기체의 절대다수는 화석 연료를 태워서 만들어진 것이다. 물론 자연적인 기온의 사이클이 있지만 여러 논문과 실험을 통해 지금의 기후변화는 Natural을 뛰어넘는 그 이상이다. 그 외에도 생산, 산림 손실로 온실 기체가 방출되고 있다. 온실 기체는 햇빛을 투과하기 때문에 햇빛이 지구 표면을 가열하고, 지구가 적외선 복사로 열을 우주로 방출할 때 온실 기체가 복사열을 흡수하여 지상에 열을 가둔다, 마치 담요를 덮고 있는 듯한 효과를 가진다. 가둬진 열로 지구가 점점 뜨거워지면서 태양빛을 반사하는 반사율이 높은 만년설 표면이 사라지는 등 지상에 여러 변화를 일으켜 지구 온난화를 가속시킨다. 기후 변화는 식량과 물 부족, 홍수 증가, 극심한 폭염, 질병의 만연화, 경제적 손실 등 다양한 상황으로 인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기후 변화 그 자체로 난민을 만들기도 한다. 해안가나 섬에 사는 사람들은 점점 올라가는 해수면에 집과 생활기반이 잠기기 때문이다.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방법으로는 온실 기체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 있다. 기후 변화를 줄일 수 있는 우리의 노력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1. 일회용품 사용 금지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일회용품은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다. 플라스틱은 생산, 운송, 폐기 등의 과정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소비되며, 이러한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화석 연료를 사용하고, 온실 가스를 배출하게 된다. 일회용품은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도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일회용품은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은 소각이나 매립되어 처리된다. 이러한 처리 과정에서도 많은 양의 온실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고 에코백이나 텀블러 사용을 권한다.

 

2. 옷 덜 사기

 

옷을 덜 사는 것으로 기후변화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지만, 옷 생산과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옷 하나 만드는데 상당히 많은 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패션 산업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8~10%를 차지하며, 옷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원재료에서 나오는 온실 가스 배출이 그 주 원인이다. 옷을 덜 사는 것 외에도, 옷을 오래 입거나 재활용하는 것도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전기 사용 줄이기

 

현재 화석연료를 대체할 만한 뚜렷한 에너지원이 없다. 원자력, 태양열, 수력, 화력, 지열 등 많은 에너지원이 연구되고 있지만 비용과 효율성 등을 고려해보면 현재로서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만한 에너지원은 없다. 그러기에 불필요한 전기 사용은 줄이고, 에너지 효율성이 좋은 전구나 가전 제품을 사용할 것을 권한다. 

 

4. 대중교통 이용하기

 

한정된 자원으로 전 세계 인구가 살아가다 보니 에너지 사용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기후변화에 도움이 된다 할 수 있다. 가까운 거리는 차대신 자전거를 이용하거나 걷는 것이 좋다. 또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지구를 지키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 내가 현실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것이다. 

 

Tipping point  라고 들어보았을 것이다. 현재 1.5 도인데 지구 온난화로 인한 지구 평균 기온이 앞으로 1.5 도 이상 올라가면 인간이 손 쓸 수 있는 방법은 없어지고, 지구에 어떠한 재해 (홍수, 폭염, 폭설, 태풍 등 에너지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대기의 움직임)가 일어날지 감히 우리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는 지점이다. 현재 1.25도 상승했다 보고되고 있으며, 더 이상  지구 평균 기온이 Tipping point 에 이르지 않도록 우리의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