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미래 전망 좋은 전공

hoydoolly 2024. 1. 11. 02:17

 

미국에 유학온지도 어느 덧 18년째가 되어간다. 유학생 신분으로 시작했던 외국 생활은 어느 덧 가정을 꾸리고 이제는 이민생활에 가까운 삶을 살고 있다. 유학생이기에 주변에 다른 전공을 가진 학생들이 대부분이었고, 서로 얘기를 나누는 와중에 어떤 분야가 미래 전망이 밝을까는 늘 우리의 관심사였다. 물리, 경영, 경제, 사회학, 언어치료, 교통, 미술, 컴퓨터 공학, 기상학 등등 다양한 전공자들과 만나보면 대부분 본인 전공은 피하고 싶어한다 ^^, 지겹게 연구와 학업에 치인 결과....본인 전공 빼고는 다 좋아보인다고들 한다. 

나도 아이를 키우면서 내 아이가 과연 어떤 일을 하며 살아가면 좋을까를 생각해보곤 한다. 아이의 특성과 재능에 그리고 관심에 맞는 분야를 선택하길 바라지만 부모로서 조언을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1. 수학

 

수학이라는 순수전공이라 흠칫 놀랄 수 있지만 정말 수학 전공의 장점은 다양하다. 수학을 공부하면 논리적인 사고와 추론 능력이 향상되어 문제 해결 능력이 높아질 뿐 아니라 또한 수학은 다른 학문과의 융합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빅데이터, 금융, 경제, 공학, 물리학, 화학 등에서 수학적 지식을 필요로한다. 수학 전공자는 이러한 분야에서 다양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수학 전공자는 수학적 개념을 증명/반증하는 방법과 혼란스럽고 복잡한 숫자에서 실제 의미를 추출하는 방법을 이해함으로써 문제 해결 능력이 굉장히 향상된다. 아는 후배는 학부 전공이 수학이었고, 박사 과정으로 경제학을 공부했는데 참으로 바람직한 커리어인듯 하다. 

 

2. 경제학

 

자고로, 돈을 만져야 돈을 번다는 말처럼, 경제학은 약간의 어려운 학문일 수 있지만 졸업 후 연봉도 높고, 사회적 지위 또한 좋은 편이다. 경제학은 사람들의 선택을 다루는 학문이다. 경제학을 배우면 다양한 욕구와 취향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선택하는지 연구하고, 이것을 개인, 가계, 기업, 정부 입장에서 다양하게 생각해 볼 수 있다. 경제학을 공부하면 코딩스킬도 갖추고, 가설을 입증할 모델도 만드는 등 과학적인 요소들 또한 배울 수 있다. 스스로 좋은 선택을 하기 위해 타인의 선택과 경제 체제를 이해하고 사람들의 선택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고 시장경제 원리와 특성을 배울 수 있다. 물론 경제학 전공이라해서 재테크에 능하거나 부자가 되지는 않는다. 학문적인 영역과 실생활은 다른 법이다. 재능과 관심이 맞다면 경제학은 진심 추천하는 전공이다. 

 

3. 물리학

 

고등학교 친구 중에 수능 만점 받은 친구가 있었다 (나 때의 수능은 쉽게 출제되어서 만점자가 전국에 60명 나왔다). 그 중 이과 탑은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갔고, 문과 탑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진학했다. 주변을 보면 공부 좀 한다하는 친구 중 이과친구는 의대 아니면 물리학과를 진학했었다. 물리학은 자연 현상을 이해하는 학문이다. 물리학을 배우면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물리학은 기술의 원리를 배우기 때문에 응용학문으로의 확장성이 좋다. 물리학은 과학적 사고력을 키우기에 좋고, 문제 해결 능력, 논리력, 수학적 사고력, 분석 능력 또한 향상 시킬 수 있다. 

 

4. 환경학

 

환경학은 환경 문제를 다루는 학문이고, 기후변화에 따른 파생되는 전공들이 앞으로 전망이 좋을 거 같다. 기상학, 환경공학 등 순수학문 뿐만 아니라 공대 등 응용학문으로 진학 할 수 있다. 환경학을 배우면 환경 문제의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앞으로의 화두는 "지속 가능한 발전"이다. 미래의 에너지원을 찾고,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 정책을 제안하는 등 정부기관으로 취직이 가능하다. 나와 남편은 기상학 전공자인데 몇 년 전부터 한국이든 미국이든 전 세계적으로 air quality, extreme weather, climate change 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 이에 대한 funding 이 점차 늘어가고 있다. 코딩 능력, 모델 디자인, 위성자료 등 각종 빅데이타 처리하고, 연구결과를 논문 또는 학회에서 발표하는 게 주된 일이다.

 

오늘은 미래에 전망이 좋은 전공에 대해 나의 의견을 써보았다. 박사학위를 하면서 다양한 전공을 만나본 후 나의 느낀점이어서 주관적일 수 있다. 나의 아이들이 재능과 관심이 맞다면 위에 적힌 순서대로 전공을 선택했으면 좋겠다. 물론 나의 원대로 안되겠지만.... 우리 아이들은 아무래도 예체능 쪽이 맞는 거 같기도 하고, 본인 좋아하는 재능을 찾는 것이 우선이지만 이상은 부모로서의 조언이다.